suid 또는 sgid가 설정된 파일을 검색하는 방법이다.
아래의 디렉터리에는 sgid, sgid, sticky 비트가 설정된 파일 또는 디렉터리가 있다.
suid 또는 sgid가 설정된 파일을 검색하는 방법이다.
아래의 디렉터리에는 sgid, sgid, sticky 비트가 설정된 파일 또는 디렉터리가 있다.
컴퓨터 관련 용어중 MAC라고 있다.
이 MAC는 정말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정리를 해 놓으면 재미있을 것 같아 포스팅하였다.
컴퓨터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MAC이라 하면 OSI 7계층 중 데이터링크 계층의
하부 계층인 MAC(Media Access Control)을 떠올릴 것이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LLC(Logical Link Control)과
물리적 접속을 담당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의 두 서브 계층으로 나뉜다.
우리가 가장 익숙한 부분은 MAC 주소라는 부분인데,
이 것은 NIC(Network Interface Card)의 고유한 주소로 16진수 12자리로 구성된
48비트의 물리주소이다.
inode에는 여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이중에 MAC time이라는 것이 있다.
M (Modify) time : 파일 수정 시간
A (Access) time : 파일 접근 시간
C (Change) time : i-node 수정 시간(파일 속성 변경 시간)
다음은 정보통신 분야의 접근 통제 정책중에서 찾아볼수 있다.
강제적 접근통제라고 하는 MAC(Mandatory Access Control)이 그것이다.
DAC(Discretionary Access Control)이 객체의 소유자 마음대로 접근을 통제한다면
MAC은 데이터의 접근을 시스템(관리자)이 규칙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암호학에서 사용되는 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이다.
MAC은 메시지의 무결성과 송신자 인증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한다.
MAC과 비슷한 MDC(Message Detection Code)가 있는데 MDC는 메시지 무결성만 보장한다.
MAC의 종류에는 축소 MAC, HMAC, CBCMAC이라 불리는 CBAC 등이 있다.
축소MAC은 키와 메시지를 붙이고 Hash하여 중간 단계 다이제스트를 만들고
여기에 다시 키를 붙여 최종 다이제스트를 생성한다
파일 이름 : wtmp
명령어 : last, last 아이디, last reboot
파일 경로 및 명령어는 시스템에 따라 다름
파일 이름 : utmp
명령어 : w, who, whodo , users, finger
파일 경로 및 명령어는 시스템에 따라 다름
파일 이름 : btmp, loginlog, failedlogin
명령어(리눅스) : lastb
명령어(솔라리스) : cat /var/adm/loginlog
명령어(AIX) : failedlogin
파일 경로 및 명령어는 시스템에 따라 다름
파일 이름 : lastlog
명령어 : lastlog, lastlog -u 아이디
명령어(솔라리스) : finger 아이디
파일 경로 및 명령어는 시스템에 따라 다름
파일 이름 : sulog, secure
명령어(유닉스) : cat /var/adm/sulog
명령어(리눅스) : cat /var/log/secure